김용민 前 총장이 시행했던 '산학대여장학금 수혜 제한' 정책이 폐지됐다.
구태완 대학원총학생회장은 자유게시판을 통해 "최근 교무위원회를 통해 산학대여장학금이 완전히 부활했다"고 밝혔다.
자료사진 ⓒUC Berkeley
산학대여장학금 수혜 제한 정책(일명 신산학정책)은 김용민 前 총장이 지난 2013년부터 추진하여 지난해 9월 1일부로 시행된 정책으로, 2014학년도 9월 대학원 신입생부터 기업에게 산학대여장학금을 수혜받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정책이었다.
산학대여장학금은 재학생이 졸업할 때까지 기업에게 장학금을 받으며 학업을 마친 후, 반대급부로써 일정기간 이상 기업에 들어가 일하도록 하는 장학정책이다.
당시 대학 측은 산학대여장학금이 대학원생의 졸업 후 진로를 제한함으로써 여러 문제점을 낳는다고 보고 신산학정책을 추진했다.
하지만 대학원생뿐만 아니라 교수들까지도 반대에 동참하며 시행을 못하다가 결국 신입생에게만 적용하는 것으로 하여 지난해 9월에 시행된 것이다.
구성원들이 반대한 이유는 대학이 학생의 권리를 침해하여 임의로 선택의 폭을 제한하는 점, 'Signing Bonus'나 조건없는 장학금 같이 비현실적이고 한국 사정에 맞지 않는 대안을 제시하는 점 등이었다.
산학대여장학금을 받지 못하면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학업을 끝마칠 수 없는 학생도 있다는 주장도 있었다.
이에 대학원총학생회는 대학에 지속적으로 신산학정책 폐지를 건의했으며, 김도연 총장이 이에 화답하여 취임 직후부터 폐지를 검토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신산학정책이 폐지됨에 따라 2016학년도 신입생을 비롯해 모든 대학원생의 산학대여장학금 수혜가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신산학정책은 김용민 前 총장이 반대를 무릅쓰고 강력하게 추진했던 정책들 가운데 셧다운제, 지곡회관 식당 위탁에 이어 세번째로 폐지 수순을 맞았다.
하지만 이미 시행이 확정된 기숙사비 폭탄 인상을 비롯해 체육시설 야간 사용 유료화 정책, 연구시설 공간 사용료 정책 등은 아직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저작권자 ⓒpochun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캠퍼스뉴스 > 일반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보] 포스텍, "대생설 세월호 막말"에 사과… "반쪽짜리" (1) | 2016.03.16 |
---|---|
[News] 대생설 수업서 세월호 참사 막말 논란 일어 (0) | 2016.03.10 |
[News] 대학원생 권리·의무 장전 선언식 열려 (0) | 2015.12.09 |
[News] 국제관, 불법 숙박영업으로 경찰에 또 적발 (0) | 2015.11.18 |
[News] 총장선임규정 개정… 교수 영향력 대폭 확대 (0) | 2015.11.03 |